'당뇨병은 영양 결핍이다' 라고 하는 말은 음식을 못 먹어서 영양 결핍이라는 의미가 아닙니다.
음식을 충분히 먹었지만 인슐린 저항성 같은 이유로 인해 포도당이 세포로 들어가지 못하고 결국 세포가 에너지원을 받지 못하기 때문에, 이를 두고 '세포 입장'에서 영양 결핍이라는 의미입니다.
'영양 결핍'은 rhetoric이지 못 먹고 굶주려 생긴 진짜 영양 결핍을 의미하는 게 아닙니다.
음식을 충분히 먹어서 혈액 속에 포도당이 있지만 세포로 포도당이 들어가지 못하므로 고혈당이 생기는 것이고, 세포가 영양분을 못 받기 때문에 그 결과 체중이 줄어드는 것이죠.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가 포도당을 못 받으므로 체내 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합니다.
이런 기전 때문에 당뇨병이 걸리면 체중이 급격히 줄어드는 것입니다.
당뇨약을 먹으면 혈당이 떨어지므로 체중이 올라갑니다. 체중이 올라가면 다시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고 혈당이 올라가며, 다시 당뇨약을 먹으면 혈당이 떨어지고 체중이 올라가고 인슐린 저항성이 높아지고... 이렇게 무한 반복되는 것이죠.
못 먹어서 당뇨병 걸린 분은 없을 것입니다.
당뇨가 영양 결핍, 즉 기아 상태라면 인류는 진작에 멸망했을 것입니다.
탄수화물을 극도로 제한하고 지방 섭취를 늘려서 살을 빼는 것이 바로 저탄고지에서 주장하는 감량 방법입니다.
인위적으로 인슐린 기아 상태를 만들어서 지방을 태워 체중을 줄이겠다는 것이지요.
이는 당뇨병이 살 빠지는 기전과 똑같습니다. 스스로 당뇨병을 만들어 체중을 줄이겠다는 것이죠.
포도당은 인슐린이 세포 속으로 유입을 조정하지만 지방산은 그렇지 않고 무한정 들어 갑니다.
지방산이 계속 들어오니까 세포는 포도당 유입을 차단합니다. 이게 바로 인슐린 저항성입니다.
지방을 먹을수록 세포 안에 포도당이 들어 갈 자리가 없어집니다.
이런 상태를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합니다.
탄수화물을 안 먹어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겠다는 건 완전한 허구입니다. 오히려 정반대입니다.
지방을 먹으면 아래와 같은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 인슐린 수용체가 줄어들고
- 인슐린 저항성 악화,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 저하, 지방산 산화에 의한 부작용 발생
- 간에서 콜레스테롤 합성 증가로 인한 고지혈증 유발
- 장내 염증 유발 --> 심장병, 암 발생 촉진
당뇨는 너무 잘 먹어서, 많이 먹어서 생기는 병입니다.
결론적으로 복합 탄수화물 위주 식사, 소식과 운동만이 당뇨를 양화시킬 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